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6 우리 아이에게 동화책 읽어주는 올바른 방법 우리 아이에게 동화책 읽어주는 올바른 방법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좋은 것은 다 알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은 12개월쯤 되면 뇌에서 모국어에 의미는 모르지만 모국어의 소리를 변별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모국어의 소리를 많이 들려주는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 연령에 알맞은 책을 아이들에게 읽어주는 것입니다. 책의 중요함을 알겠지만 책을 무작정 많이 읽는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우리 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줘야 하는 다양한 이유와 책을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어떠한 단계를 거쳐야 하며, 동화책 읽어주는 올바른 방법과 읽을 때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줘야 하는 이유 흔히 미취학 아이가 동화책을 읽는 것을 유아 독서라고 하는데 유아 독서는 유아에게 끝나는 것이 아니고 초등.. 2022. 8. 1. 우리 아이들에게 현명한 미디어 노출 방법 우리 아이들에게 현명한 미디어 노출 방법 요즘 코로나19 바이러스 위기로 우리 아이들 집에서 생활을 많이 하다 보니 집에서 있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그러면서 무분별한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에 너무 많은 노출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부모님들이 이 미디어 시청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오늘 미디어를 보는 부모와 아이의 서로 다른 관점과 아이들에게 어떻게 하면 올바른 디지털 미디어 사용법과 미디어 사용 실천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디어를 보는 부모와 아이의 다른 관점 우리는 눈떠서 잠을 잘 때 가지 미디어와 동고동락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우리 아이들이 미디어를 가장 사용하는 나이는 10대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10대 아이들이 월간 미디어를 사용하는 시간이.. 2022. 7. 31. 우리 아이를 위한 UN아동권리 협약 이야기 우리 아이를 위한 UN아동권리 협약 이야기 우리 아이들은 누구나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권리라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꼭 있어야 하는 것으로 권리는 나뿐만 아니라 할아버지, 할머니, 아빠, 엄마, 언니, 오빠, 동생 등 이웃 사람들 그리고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모두가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인간이 태어남과 동시에 자연적으로 가지게 되는 이 권리는 80세의 노인이나 20대의 청년이나 지금 이 순간 태어난 아이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인권이라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기본이 되는 아동들의 아동권리에 관한 UN 아동권리 협약과 아동권리 원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N 아동권리 협약의 의미 1989년 11월 20일에 전 세계의 지도자들이 모두가 승.. 2022. 7. 30. 내 아이 잠재력을 키우기 위한 유대인 교육 대화법 내 아이 잠재력을 키우는 유대인 교육 대화법 인간의 잠재력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잠재력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숨어 있는 능력을 뜻하는데,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민족이라고 불리는 유대인들이 내 아이 잠재력을 키우기 위한 유대인식 교육 대화법과 앞으로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숨어있는 잠재력을 부모가 발굴하여 바른 생각과 뛰어난 능력을 지닌 아이로 만들어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민족이라고 불리는 유대인의 잠재력 교육 전 세계 10대 부자 중에 7명이 유대인입니다. 전 세계 기부자를 보며 10명 중 10명이 유대인입니다. 어릴 때부터 유대인들은 집에서 부모와 질문식 대화법으로 하브루타를 끊임없이 하고 교육방법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 교육 방법은 소크라테스식 .. 2022. 7. 28. 우리 아이 자기 주도적인 아이로 키우는 원칙 우리 아이 자기 주도적인 아이로 키우는 원칙 모든 부모들이 아이를 사랑하고 잘 키우고 싶고, 우리 아이가 모든 성장 과정에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이고, 자존감이 높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잘하는 아이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그런데 자기 주도적인 아이로 키우는 것이 쉽지 않은데, 앞으로 아이들을 부모가 양육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자기 주도성을 키우는 방법과 그 시기는 언제 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기 주도성의 뜻 자기 주도성이라는 말은 아이의 발달 단계에 이르렀을 때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으로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 언제나 고려해야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12개월을 지나고 3살까지는 뭐든 스스로 하려고 하는 아이의 주장이 강해지는데 이때 아이가 하는 모든 것을 보며 참을 수 있어야 하지만 .. 2022. 7. 26. 우리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방법 우리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방법 자존감의 뜻과 정의 대해 알아보면 자존감은 자신감과는 다릅니다, 자존감은 자기 자신의 바라보는 신념 또는 개념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신념과 개념은 정서적인 것이 포함되는데 자존감을 내가 어떠한 상황이라도 사랑을 받고 존중받을 만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내가 어떤 일을 하면 잘 해낼 수 있는 것이라는 기본적인 자기 능력에 대한 확신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자존감이 높은 아이와 자존감이 낮은 아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 자존감이 높은 아이로 키우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의 특징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때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모든 사람은 뭔가 새로운 것을 접하면 불안하고 두려우기 마련이지만, 자존감이.. 2022. 7. 24.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