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 이론

우리 아이들의 심각한 스트레스 탈출법

by M 머니 잡 * 2022. 8. 15.

우리 아이들의 심각한 스트레스 탈출법

아이를 양육하는 양육자로써 아이의 육아로 인해 행복을 느끼지만 반면에 힘들고 우울한 감정들이 보이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 아이들도 영유아기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이 스트레스 때문에 문제행동을 많이 보입니다. 하지만 우리 부모님들은 이러한 것을 영유아 스트레스로 생각하기보다는 아이의 분노, 고집, 울음의 이해 불가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영유아기 스트레스를 부모님이 잘 알아내는 것이 중요한데, 영유아기에 받을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

첫 번째로는 양육자와 분리가 되면서 낯선 환경인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오랜 시간 있어야 하는 공간에 대한 두려움으로 적응하는 단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두 번째는 간섭을 많이 받는 일상의 살면서 스트레스가 많이 집니다. 우리 아이가 자라면서 해야 하는 일도 많고, 하면 안 되는 것도 많아지면서 아이가 그에 따른 차례와 질서, 규칙을 지키고 포기라는 것도 알아야 하는 부분에서 스트레가 많이 생깁니다. 세 번째는 또래 친구와 만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데 아직은 우리 아이들은 자기중심적인 생각이 강하고 이해력이 부족하고 사회성이 경험이 없는데 나와는 다른 친구들과 함께 지내며 서로 공감하며 지내야 하는 것에 힘들어합니다.  그리고 가족 내에 일어나는 상황이나 갈등, 부모님의 이혼, 부부싸움이 아이 자신의 존재 때문에 싸우는 듯한 것으로 판단하기 쉽기에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유아기 때 스트레스를 받을 때의 반응

스트레스의 불안감으로 손톱 뜯기, 배 아프다고, 특정 강박증이나 불안 증세, 공격적인 행동, 양육자의 분리불안이 심해지는 반응이 많이 보이고, 또는 통증으로 두통, 복통, 피곤함, 아토피 증상이 심해지는 등의 면력성이 떨어지는 등의 반응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아기 때에는 자유롭게 하고 싶은 욕구가 강한데, 어떠한 행동에 대해 "하면 안 돼, 위험해, 안돼"와 같은 말을 많이 하고 행동을 제지하면서 자율의 욕구가 침범될 때 자율의 욕구가 줄어들어서 위축된 정서를 보입니다. 그래서 나이가 어려지는 행동이라고 하는 퇴행 행동이 보이고, 이 퇴행 행동으로는 젖병을 찾거나 소변이나 대변을 가리지 못하거나 적극적인 성향이었는데 소극적인 성향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불안감이 높고 스트레스가 조절되지 않으면 틱 증상이나 말을 안 하거나, 우울증을 보입니다.  공격적인 행동으로는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의 행동을 보이거나  아이가 자신의 요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나타나는 분노의 폭발적 반응으로 바닥에 뒹굴거나, 울부짖는 강한 분노 표출이 보입니다.

우리 아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

스트레스가 많을 경우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이나 자극을 해결해야 합니다. 주위에 우리 아이에게 좋지 않은 환경이 무엇인지 잘 찾아야 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의 경우라면 누구나 속상하고, 화가 나고, 분노라는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것과 그 감정의 표현법을 잘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은 사람이라면 당연한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경청해줘야 합니다. 아이에게 "나 화가 났어, 나 속상해"와 같은 언어로 표현 전달을 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이라는 것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자해를 하는 행동을 보이면 그  행동에 관심을 가지지 않아야 합니다. 이것은 외면하라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자해하는 행동을 멈출 때까지 부모님은 다른 장소에 가거나 또는 아무렇지 않게 하던 것을 계속하는 것을 보여주며 자해 행동으로 관심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 아이에게 충분히 신체활동을 즐기며 스트레스를 발산하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대표적인 놀이로는 공 던지기, 풍선 치거나 날리기, 신문지 날리거나 찢기, 밀가루 반죽, 클레이 놀이, 슬라임 주무르기 놀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와 함께 하는 질적인 시간을 많이 보내야 합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관심을 받을 때  가장 많은 행복을 느끼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서 같은 것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아이의 마음이나 관심사를 같이 알아보면서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자기 조절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아이의 요구를 다 들어주기보다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선택권과 주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질서와 규칙은 단호하게 이야기하며 알려주어야 합니다.

 

반응형